경영·경제학 공부를 하다 보면 여러 용어들을 만나게 됩니다. 이쪽 계통은 전공한 분야가 아니다 보니 이런 용어들이 익숙하지 않은 게 사실인데요. 경영·경제학 용어들의 개념적 정의를 찾느라 시간을 많이 빼앗기곤 하는데, 오늘은 수많은 경영·경제 용어들 중 'NAV'와 'AUM'이라는 용어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NAV란?
NAV는 'Net Asset Value'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순자산가치'라고 합니다. 순자산가치라고 하니까 왠지 더 익숙하고 편해지네요. 그런데 순자산가치가 정확히 뭐냐라고 하면 그냥 개념적으로만(느낌상) 알지 명쾌하게 설명하기가 꽤나 어렵습니다.
NAV란, 펀드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을 펀드의 총 발행 좌수(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다시 말해 펀드의 1좌(또는 1주) 당 가치를 나타냅니다. NAV 계산공식은 NAV=(펀드의 총 자산 - 부채)/발행된 펀드 좌수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한 펀드의 총자산이 100억, 부채가 10억 원, 발행된 펀드 좌수가 900만 좌라면, 이 펀드의 주당 가치는 1만 원이 되겠네요.
NAV라는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① NAV를 통해 펀드의 현재 가치평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자는 NAV를 보고 현재 펀드가 얼마만큼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확인이 가능합니다.
② NAV는 펀드 가입이나, 환매 시 기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한 번(장 마감 후) 계산되어 발표됩니다.
③ NAV의 변동을 통해 펀드의 성과를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즉, 과거 NAV와 현재 NAV를 비교하면 펀드의 수익률을 알 수 있습니다.
AUM의 개념
AUM은 '운용 자산 규모'를 의미하는 'Assets Under Management'의 약자입니다. 즉, 금융기관(자산운용사, 헤지펀드, 은행 등)이 고객을 대신해 운용하는 총 자산 규모를 나타냅니다.
AUM이 중요한 이유는,
① 자산운용사의 신뢰도 및 규모 판단
- AUM이 크면 운용 능력이 인정받는 경우가 많으며, 규모가 클수록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펀드나 금융사의 수익성과 직결
- 운용사는 AUM을 기준으로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규모가 클수록 수익도 증가합니다.
③ 투자자의 신뢰 지표
- 높은 AUM은 많은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뉴스 기사에서 아래와 같은 글귀를 종종 발견하곤 합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운용자산 규모(AUM)가 1조 달러를 넘었다고 발표했다
그 펀드의 운용자산 규모(AUM)는 지난 5년 동안 두 배로 증가했다.
AUM이 클수록 반드시 좋은 운용성과를 내는 것은 아니겠지만, 신뢰와 안정성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건 분명한 것 같습니다.
NAV와 AUM. 공부해 보니 펀드를 투자함에 있어, 실재 펀드의 순자산가치와 그런 펀드 운용을 맡기는 금융기관의 자산 규모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었네요. 앞으로 이런 용어들을 접할 때마다 블로그에 정리하여 개념적인 공부도 하고, 공유도 할 수 있도록 자주 포스팅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잡다한 모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공부] ETF가 대체 뭐야? ETF와 S&P 500 (4) | 2025.03.29 |
---|---|
에버랜드 가기 가장 좋은 시기는? 놀이동산 '눈치게임' 필승 전략! (24) | 2024.09.28 |
[명절(추석) 선물 추천] FROMONS by Suplelin(수플린) 과일세트 (22) | 2024.09.10 |
우리나라 4대 명절(설날, 추석, 단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26) | 2024.09.03 |
[일상정보] '결제'와 '결재'의 차이, 의미, 어떻게 다를까? (feat. 구분 꿀팁) (1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