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사 이야기7

회사용어, 업무용어 정리 제 2탄 : 신입사원 필독 가이드 안녕하세요, Rail-road입니다. 지난번 '수신자 제위' 같은 격식 있는 회사 용어들을 다루었는데요. 오늘은 2탄! 일상 업무와 메일에서 너무나 자주 쓰이지만, 제대로 뜻을 모르면 소통에 오류가 생기는 실용적인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신입사원이라면 오늘 이 글을 'ASAP'으로 읽으셔야 할 겁니다. 😉뜻도 짚고, 언제 어떻게 쓰는지, 그리고 그 단어 안에 담긴 '속뜻'까지 같이 알아볼게요.Part 1. 기한을 의미하는 필수 비즈니스 약어회사 메일 제목이나 내용에서 가장 자주 보이는 영문 약어들입니다. 이 약어들을 모르면 업무의 우선순위와 정보를 제공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1. FYI (For Your Information)뜻 : 당신의 정보를 위해, 참고하세요.사용 : 내가 이 내용을.. 2025. 11. 16.
명확한 뜻은 잘 모르지만 자주 쓰는 회사용어(feat.수신자 제위) ‘수신자 제위’부터 ‘수명업무’까지회사 메일이나 공문, 결재 문서를 보다 보면 낯선 단어들이 슬쩍슬쩍 등장합니다.수신자 제위, 귀중, 공람, 갈음, 재가, 수명업무 대충 뜻은 알아서 그냥 넘어가지만, 막상 근데 '제위'(?)가 무슨 뜻이지??라는 생각을 하게 되죠. 오늘은 그런 아는 듯 모르는 회사 용어들을 몇 가지 정리해 볼까 합니다. (아마 이제 막.. 갓 입사한 신입사원들에게는 도움이 될 듯합니다. 😅 뜻도 짚고, 언제 어떻게 쓰면 좋은 지도 같이 알아볼게요.1. 수신자 제위 (受信者 諸位) 뜻 : 받는 여러 사람을 높여 부르는 말.즉, **“받는 여러 분께”**라는 의미입니다. 보통 회사 공문이나 전체 공지문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는 문서에 쓰입니다.2. 귀중 (貴中)뜻 : 회사나 기관 등.. 2025. 11. 9.
[회사 이야기] '평균 임금'의 정의 및 계산 ‘평균임금’이 뭐야?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심심치 않게 ‘평균임금’, ‘통상임금’ 이런 용어들을 들을 때가 있죠? 일하고 돈 받으면 다 같은 임금이지 뭐가 이렇게 다른 건지, 나만 이해 못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인사 담당자에게 물어보면 이것저것 설명은 잘해주는데, 구체적으로 이게 뭐를 의미하는 건지 알 것 같으면서도 좀 헷갈립니다. 오늘은 회사에서 자주 듣는 ‘평균임금’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평균임금의 정의‘평균임금’은 근로기준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퇴직금, 휴업수당, 해고예고수당 등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임금입니다. 회사원들이 ‘평균임금’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는 순간이 바로 퇴직금을 문의할 때인데요. 평균임금의 근로기준법 상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임.. 2025. 7. 12.
[문서작성 Tip] MS워드, 특정 페이지만 문서 방향 다르게 설정하기 MS워드, 특정 페이지만 문서방향(가로, 세로)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회사에서 문서(MS 워드)를 작성하다 보면 가끔 다음과 같은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보고서를 세로로 쭈욱 써 내려가다가 필요한 경우 딱 한 페이지만 가로로 전환을 하고 싶은데, 메뉴바에서 레이아웃 > 용지방향을 설정하면 모든 페이지가 다 바뀌어버리니... 참.. (분명 방법이 있을 텐데.. 바빠 죽겠을 때 이러면 진짜 답답) MS워드 기준 특정 페이지의 문서 방향(가로 또는 세로)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제가 알려드릴 테니, 잘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페이지 나누기 삽입  - 변경할 페이지의 전 Page에 커서를 놓습니다.  - 상단 메뉴에서 [레이아웃] → [나누기] → [구역 나누기-다음 페이지부터]를 클릭합니다.  .. 2025. 4. 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최대 3년? 어떻게? (완벽 정리) * 고용노동부 자료와 기사, 그리고 나름의 공부를 통해 정보를 제공합니다. 혹시나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의견 부탁드립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는 자녀 양육기에 있는 근로자가 하루 근로시간을 단축하여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최근 이 제도가 개정되어 ('25년 2월) 누릴 수 있는 조건들이 더 좋아졌음에도 정보의 홍수, 혹은 업데이트의 부재로 이 제도를 알아보려는 회사원들이 혼란스러워할 때가 많은데요. 우리가 가장 흔하게 활용하는 네이버에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검색을 해보면 개정 전의 고용노동부 링크가 메인으로 올라와 정보의 혼돈을 주기도 합니다. 제가 이 분야에 전문은 아니지만, 그래도 저처럼 이 제도를 호시탐탐 눈팅하는 전 국민 .. 2025. 4. 5.
(주관적) 메이저 노무 법인 소개, 유앤/홍익/서정/동화 * 소개에 앞서, 하기 글은 온라인상 정보와 개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주관적인 글임을 밝힙니다. 혹시나 정보의 오류, 또는 다른 의견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메이저 노무법인?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메이저 '로펌(Law Firm)'이라고 하면, 김앤장, 법무법인 광장, 태평양, 율촌 등을 손쉽게 꼽을 수 있고, 메이저 회계법인이라고 하면 삼일(Pwc), 삼정(KPMG), 한영(EY한영), 안진(Deloitte)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검색 엔진을 활용하면 쉽게 위에 회사들을 누구나 꼽게 되고 굳이 검색하지 않아도 회사생활 하다 보면 웬만하면 한 번씩은 접하게 되는 회사들이라 귀에 익숙하리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노무법인은? 노무법인도 메이저 노무법인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에 온라인상 검색을 해봐도 .. 2025. 3. 29.
2025년 최저임금 확정, 최저시급 '1만원' 시대의 명과 암 최저시급 '1만 원' 시대지난 7월 12일 금요일 최저임금위원회는 표결을 거쳐 2025년 최저임금을 시간당 10,030원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2024년 올해 최저시급인 9,860원 대비 1.7% 인상된 수준입니다. 최저시급 제도가 시행된 1988년도에 400원대에서 출발, 약 37년 만에 1만 원대로 진입하여 드디어 '1만 원' 시대를 열었으나, 이에 대한 명과 암이 분명하고 노사 간 반응도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가까스로 1만 원은 넘겼으나, 인상률 자체는 1.7%로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이며, '24년 상반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8%로 실질적인 임금 수준은 오히려 삭감된 수준이라는 것이 노동계의 반응입니다. 역대 최고 낮은 인상률은 '21년도 1.5% 인상이었는데, 당시 전년도인 '20년.. 2024. 7. 19.

TOP

Designed by 티스토리